728x90
반응형
디버그는 프로그램을 만들며 생기는 버그들을 고치기 위해 VS등의 IDE에 내장되어 있는 기능이다.
프로그램 흐름을 직접 보며 멈출 수 있고, 특정 상황의 변수 값을 눈으로 볼 수 있어 버그 해결에 큰 도움이 된다.
VS2010에서는 F5키 혹은 버튼을 클릭하여 디버깅 모드로 들어갈 수 있다.
브레이크 포인트(Break Point) : F9를 이용해 토글할 수 있으며, 디버깅 시 그 부분에서 멈춘다.
이후 다음 브레이크 포인트가 나올 때 까지 멈추지 않고 진행하거나(F5), 한 단계씩 지나가거나(F11) 블록단위로 지나가는 기능(F10)들을 잘 이용하여 디버깅한다.
아직 실행되진 않았으나 다음 번에 실행될 내용(화살표 윗부분은 실행완료)
Autos 창에서 자동으로 변수들의 이름, 값, 타입을 잡아준다.
특정 변수만 보고 싶을 경우 Watch창을 이용하면 되는데,
이렇게 Name에는 변수의 이름을 입력하면, Value에는 변수의 값을, Type에는 자료형을 보여준다.
변수의 주소값을 알고 싶다면 위처럼 변수명 앞에 &를 붙여 주소를 참조한다.
메모리 주소나 변수명을 직접 입력해 메모리의 값들을 직접 살펴볼 수도 있다.
메모리는 0x12345678의 값이 있으면 78 56 34 12순으로 저장하기 때문에 착오가 없어야 한다.
728x90
'코스웨어 > 13년 스마트컨트롤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성엽]Debug과정_정리 (0) | 2013.03.18 |
---|---|
한성원 비쥬얼스튜디오(정리) (0) | 2013.03.18 |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디버깅 -문예진 (0) | 2013.03.18 |
DEBUG 사용방법 (0) | 2013.03.18 |
visual studio를 이용한 debug (임태형) (0) | 2013.03.18 |
13년 스마트 컨트롤러 임기준 <디버그 사용방법> (0) | 2013.03.18 |
비주얼스튜디오_디버그_손초롱 (0) | 2013.03.18 |
Visual Studio 디버깅 사용방법. (김경순) (0) | 2013.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