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코스웨어/13년 스마트컨트롤러

2013.06.24_TCP_IP_이론수업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3. 6. 27.
728x90
반응형


 네트워크 내부의 메세지 교환방식

 

      1. 교환방법

 

<그림1>                                                               <그림2>



 1. 회선 교환방식 

  <그림1>에서 보듯이 한 회선을 점유중이면 다른회선이 관여가 불가능하다. 

   장점: 고품질을 제공 ( 신뢰성이 올라감 )

  단점: 대신 동시 회선 사용불가.

 

  2. 패킷 교환방식. 

 <그림2>를 보면 받는사람이 Y 이고 보내는 사람이 A 이면 동그란 부분( 스위치 : 데이터 교환 장치 )을 통해서 패킷을 맞춰보고 

  받는 사람이 맞으면 데이터를 받는방식이다.

   장점 : 신뢰성이 떨어짐.

   단점 : 동시 회선 가능.

 



 패킷 교환 방식

 

<그림3>


  : 패킷 데이터가 전송이 될때, 동그란 부분의 저장장소( Hub )에 저장이 되는데, 이 저장장소의 용량이 넘어가면 Packet을 폐기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경로를 다시 지정하는데 이를 Routing 이라고 하며, 이를 라우팅 알고리즘이라한다.





인터넷의 구조 

 

 L4 : Application : HTTP, FTP, .. 프로그램

 L3 : Transmission : 전송방식선택

 L2 : Internet : IP

 L1 : Data Link : Ethernet, FDDI, ..


<인터넷 구조>

 

  : L1 , L2 만 보고 데이터를 찾아다님. L1은 내부망에서 L2는 외부로 나가서 데이터를 찾아다님.

  만약 L1, L2 를 통해서 맞는 데이터를 찾으면 L3 에서 전송방식을 선택하고, L4 에서 실행파일 구축된 것들 실행한다.




 Packet Analyze

 : Packet Capture ( PCAP ) 이라고 하여, 패킷을 건져 올려서 각각의 Layer 를 분석을 할 수 있다. Hexaview 와 같이 사용해서

   분석함.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