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코스웨어/14년 스마트컨트롤러

20141010 출석번호 1번 업무일지 고윤석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4. 10. 12.
728x90
반응형
TCP/IP에 대한 소개

TCP/IP 프로토콜 아키텍처

TCP/IP 프로토콜은 DARPA 모델(TCP/IP를 개발한 미 정보 조직의 이름을 딴)로 알려진 네 계층의 개념적인 모델에 맵핑 되어 있습니다. DARPA 모델의 네 계층은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트랜스포트(transport), 인터넷(Internet), 네트워크(Network) 인터페이스입니다. DARPA 모델의 각 계층은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7계층 모델의 하나, 혹은 하나 이상의 계층과 일치합니다.

그림 1은 TCP/IP 프로토콜 계층 구조를 보여줍니다.


그림 1   TCP/IP 프로토콜 계층 구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 (네트워크 억세스 계층으로 불리기도 합니다.)은 TCP/IP 패킷(packet)을 네트워크 매체로 전달하는 것과 네트워크 매체에서 TCP/IP 패킷을 받아들이는 과정을 담당합니다. TCP/IP는 네트워크 접근 방법, 프레임 포맷, 매체에 대해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TCP/IP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형태를 연결하는데 사용되어 질 수 있습니다. 여러 네트워크 형태로는 이더넷(Ethernet), 토큰링(Token Ring)과 같은 LAN기술과 X.25, 프레임 릴레이(Frame Relay )와 같은 WAN기술을 포함합니다. 특정 네트워크 기술을 개발하는 독립 회사들은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과 같은 새로운 기술을 TCP/IP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은 OSI 모델에서 데이터 링크 계층과 물리적 계층(Physical layer)에 해당합니다. 인터넷 계층은 데이터 링크 계층에 존재할 수 있는 순서화(sequencing), 확인(acknowledgement) 서비스의 이점을 채택하지 않았다는 사실에 주의하기 바랍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은 신뢰할 수 없는 것으로 가정합니다. 세션 확립과 순서화, 패킷 확인 등의 신뢰할 수 있는 통신은 트랜스포트 계층의 책임입니다.

인터넷 계층

인터넷 계층은 어드레싱(addressing), 패키징(packaging), 라우팅(routing) 기능을 제공합니다. 인터넷 계층의 핵심 프로토콜은 IP, ARP, ICMP, IGMP 등입니다.

  • IP(Internet Protocol)은 IP 어드레싱과 패킷의 분해, 재조합을 책임지는 프로토콜입니다.
  •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은 인터넷 계층 주소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의 주소(하드웨어 주소와 같은)로 변환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은 IP 패킷의 전달에 따른 오류나 상태를 리포트하고 진단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은 IP 멀티캐스트(multicast) 그룹의 관리를 책임집니다.

인터넷 계층은 OSI 모델의 네트워크 계층에 해당합니다.

트랜스포트 계층

트랜스포트 계층은 (Host-to-Host 트랜스포트 계층이라고도 하는데) 애플리케이션 계층에 세션과 데이터그램(Datagram) 통신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트랜스포트 계층의 핵심 프로토콜은 TCP와 UDP(User Datagram Protocol)입니다.

  • TCP는 1대1의 연결 지향, 신뢰할 수 있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TCP는 TCP 연결 확립과 보내진 패킷의 확인, 순서화, 전달 중 손상된 패킷을 복구하는 책임을 집니다.
  • UDP는 1대1, 1대다의 비연결 지향, 신뢰할 수 없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UDP는 주로 전달해야 할 데이터의 크기(하나의 패킷으로 보낼 수 있는 데이터와 같은 경우)가 작을 때나, TCP 연결 확립에 의한 부하를 피하려고 할 때, 혹은 상위 프로토콜이 신뢰할 수 있는 전달을 책임지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트랜스포트 계층은 OSI 모델의 트랜스포트 계층전체와 세션 계층의 일부에 해당합니다.

애플리케이션 계층

애플리케이션 계층은 다른 계층의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게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애플리케이션들이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정의합니다. 여러 가지 애플리케이션 계층 프로토콜이 존재하며 지속적으로 새로운 프로토콜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가장 많이 알려진 애플리케이션 계층 프로토콜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은 WWW의 Web 페이지 파일을 전송하는데 사용됩니다.
  • FTP(File transfer Protocol)은 상호 파일 전송을 위해 사용됩니다.
  •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은 메일 메시지와 그에 추가된 첨부 파일을 전송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 Telnet(terminal emulation protocol)은 네트워크 호스트에 원격 접속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또한, 다음과 같은 애플리케이션 계층 프로토콜이 TCP/IP 네트워크를 사용하거나 관리하는 것을 도와줍니다.

  • DNS(Domain Name System) 은 호스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 은 IP 네트워크상에서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라우터가 사용하는 프로토콜입니다.
  •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은 네트워크 관리 콘솔과 네트워크 장비(라우터, 브리지, 지능형 허브)간에 네트워크 관리 정보를 수집, 교환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TCP/IP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계층 인터페이스의 예로 Windows Sockets과 NetBIOS를 들 수 있습니다. Windows Sockets은 Microsoft Windows 운영체제하에서 표준적인 API(application-programming interface)를 제공합니다. NetBIOS는 세션, 데이터그램, 주소 변환과 같은 프로토콜 서비스에 접근하기 위한 산업 표준 인터페이스입니다. Windows Socket과 NetBIOS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이 문서의 후반부에서 제공됩니다.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기술이란 전파를 이용해 먼 거리에서 정보를 인식하는 기술을 말한다. 여기에는 RFID 태그(이하 태그)와, RFID 판독기(이하 판독기)가 필요하다. 태그는 안테나와 집적 회로로 이루어지는데, 집적 회로 안에 정보를 기록하고 안테나를 통해 판독기에게 정보를 송신한다. 이 정보는 태그가 부착된 대상을 식별하는 데 이용된다. 쉽게 말해, 바코드와 비슷한 기능을 하는 것이다. RFID가 바코드 시스템과 다른 점은 빛을 이용해 판독하는 대신 전파를 이용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바코드 판독기처럼 짧은 거리에서만 작동하지 않고 먼 거리에서도 태그를 읽을 수 있으며, 심지어 사이에 있는 물체를 통과해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RFID는 사용하는 동력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오직 판독기의 동력만으로 칩의 정보를 읽고 통신하는 RFID를 수동형(Passive) RFID라 한다. 반수동형(Semi-passive) RFID란 태그에 건전지가 내장되어 있어 칩의 정보를 읽는 데는 그 동력을 사용하고, 통신에는 판독기의 동력을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마지막으로 능동형(Active) RFID는 칩의 정보를 읽고 그 정보를 통신하는 데 모두 태그의 동력을 사용한다.

RFID를 동력 대신 통신에 사용하는 전파의 주파수로 구분하기도 한다. 낮은 주파수를 이용하는 RFID를 LFID(Low-Frequency IDentification)이라 하는데, 120~140 킬로헤르츠(khz)의 전파를 쓴다. HFID(High-Frequency IDentification)는 13.56 메가헤르츠(Mhz)를 사용하며, 그보다 한층 높은 주파수를 이용하는 장비인 UHFID(UltraHigh-Frequency IDentification)는 868 ~ 956 메가헤르츠 대역의 전파를 이용한다.


작동원리

  1. 칩과 안테나로 구성된 태그에 활용 목적에 맞는 정보를 입력하고 대상에 부착
  2. 게이트, 계산대, 톨게이트 등에 부착된 리더에서 안테나를 통해 발사된 무선 주파수 태그에 접촉
  3. 태그는 주파수에 반응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안테나로 전송
  4. 안테나는 전송 받은 데이터를 디지털신호로 변조, CRC체크하여 리더로 전달
  5. 리더는 데이터를 해독하여 호스트 컴퓨터로 전달

장점

  • 반영구적 사용
  • 대용량의 메모리 내장 이동 중 인식 가능
  • 원거리 인식가능
  • 반복 재사용이 가능
  • 다수의 Tag/Label 정보를 동시 인식 가능
  • 데이터 신뢰도 높음
  • 공간 제약이 없이 동작 가능
  • 데이터 변환(write) 및 저장이 용이함

단점

  • 비싼 가격
  • 개인 프라이버시 침해 가능
  • 국가별 주파수가 다름
  • 전파의 적용범위(1m미만)가 한정





c++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class smart
{
     public:
          int inum;

          smart()
          {
               cout<<"생성자 였나요"<<endl;
          };
          smart(int inum)
          {
     //          smart::inum=inum;
               this->inum=inum;  //현재 객체를 가리킨다  결과적으론 위에 주석처리 한 거랑 똑같은 상황이 발생한다
               cout<<inum<<"생성자 였나요"<<endl;
          };
    
          ~smart()
          {
               cout<<"소멸자 였나"<<endl;
          }
          smart * test()
          {
               return this;
          }
};

int main()
{
//     smart obj[5];
     smart obj(1);
     smart * p=obj.test();
     cout<<p->inum<<endl;
     return 0;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