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코스웨어/15년 스마트컨트롤러

20150311-31번-차윤도-디코더, 전역변수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5. 3. 11.
728x90
반응형

# 1 교시 전기기초.

 

** Common-anode방식: 모든 LED의 공통단자가 VCC에 물려있어 각 단자에 GND를 연결할때 불이 들어오는 방식.
** Common-cathode방식: 모든 LED 공통단자가 GND에 물려있어 각 단자에 VCC를 연결할때 불이 들어오는 방식. 

&인코더(encoder)/멀티플렉서(MUX, Multiplexe)

※인코터란 디코더의 반대 기능을 수행 하는 장치로써, 2^n개의 입력신호로부터 n개의 출력신호를 만든다.
※인코더의 역할은 2^n개 중 활성화된 하난의 1비트입력 신호를 받아서 그 숫자에 해당하는 n비트 2진 정보를 출력한다.
※멀티플렉서는 여러개의 입력선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선에 연결하는 조합회로이다. 선택선들의 값에 따라서 특별한 입력선이 선택된다 .
※멀티플렉서는 많은 입력들중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입력선의 2진 정보를 출력선에 넘겨주기 때문에 데이터 선택기(data selector)라 부르기도 한다 .

& 4 X 2 인코더

& 2입력 멀티 플렉서.

& 4입력 멀티 플렉서.

 

& 코드 변환기(code converter) .

패리티 발생기/검출기(parity generator/checker)

& 인코더(Encoder)

 

& 디코더(Decoder)

 

※ 왼쪽에 디코더, 오른쪽에 싱크타입(입력모듈에서 전류가유입되는 형식)으로 전원연결.

 멀티플렉서(MUX, Multiplexe)

 

 ※ DIP(DSW1)부분에 여러개의 데이터중 일정데이터를 선택하여 ENABLE이라는 신호를 내보내주고, 스위치(SW1,2)를 조작하여 LED켠다. (DSW1와 SW1,2는 연관이 없다.)

& 디코더와 디멀티플렉서 비교

※1개의 인에이블 입력을 가지고 있는 디코더는 디멀티플렉서로서의 기능을 수행
※디멀티플렉서는 정보를 한선으로 받아서 2^N개의 가능한 출력 선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받은 정보를 전송하는 회로이다. 디멀티플렉서는 N개의 선택선들을 이용하여 출력을 제어 .

※ 인코더는 암호화하는것, 디코더는 암호를 해독하는것.

& 4X2인코더와 2X4디코더 회로도 연결.

 

# 2 교시

& 메모리구조 .

 

 

※ TTL(transistor-transistor logic): 반도체를 이용한 논리 회로의 대표적인 하나이며 일반적으로 5V 단일전원의 모노리식 집적 회로

& 함수의 원형(프로토타입).

 

& 전역변수와 함수의 활용.

& 전역변수는 꼭필요할때만 쓴다.

※ 전역변수의 수가증가하면 그만큼 프로그램은 복잡해지며, 오류날확률이 커진다.
※ 전역변수는 프로그램이 종료될때까지 사라지지않으니, 차지하는 메모리가 커진다.
-> 램의 부족현상이생긴다. (자동변수는 부하가걸려 속도가 약간느려진다.)

& Static 변수.

※ 선언된 함수 내에서만 접근이 가능하다. (지역변수 특성)
※ 딱 1회 초기화 되고 프로그램 종료시까지 메모리 공간에 존재한다. (전역변수 특성)

& register변수 .

※ cpu 내에 존재하는 레지스터라는 메모리공간에 저장될 확률이 높아진다.
※ .exe실행할때 저장되는것이아니라, 컴파일할때 컴파일러에 의해서 어디에 저장될지 정해진다. 
※ 전역변수는 register에 저장되지않는다.

& 재귀함수.

※ 함수를 호출할때 일정량의 메모리사용하기때문에 한계가있지만 윈도우는 자체제어한다.
윈도우가 아니면 어떤일이 일어날지모른다.
-> buffer(stack) overflow
※ 장/단점: 코드간단하지만, 단점: 메모리를 많이 사용한다.

◆ Atmel

& Make문법.
※makefile - make프로그램이 실행할때, makefile을 사용함.

 

& main의 위치.

 

 

열심히 했지만, 부족한부분이 많은거 같습니다.

잘못된부분은 알려주시면, 수정하도록하겠습니다.

수고하세요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