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코스웨어/16년 스마트컨트롤러

20160310 업무보고 이보원 CPU모듈 LED 2EA 교차점멸 실험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6. 3. 11.
728x90
반응형

Atmel ATmega 2560 <CPU 모듈>

-2560 CPU 알기-

>발진기(오실레이터)

~회로 혹은 클럭발생기라고도 함

 

>16.000 MHz  

소수점 이하 0이 많이 붙을수록 정확한 진동자

1초에 16000000 개이다.

 

 

 >Watchdog 

특정한 시간동안 시스템이 응답없으면 리셋시킴.

>Actlve Mode

속도가 느려질다 (1MHZ,1.8V,500UA)

>FLASH , SRAM

CPU 내부에서 직접적으로 코어와 연결되어 동작한다

나머지는 버스을 통해서 코어와 연결되어 동작한다.

 

 

 

>AVR CPU General Purpose Working Registers

 

 >Program Flash Memory Map

-설명은 위 공책에 있습니다 !!^^

>SRAM Data Memory

 

 

-하바드 구조-

데이타 메모리와 프로그램 메모리가 분리 - 어드레스 버스와 데이타 버스 2개를 자지고 있다.

2개의 버스가 독립되어 있어서 한 인스트럭션을 수행하는 동안 다음 인스트럭션을 읽어와

 준비할수 있다.

 

>DDR , PORTA

 

-DDR 은 데이터의 방향을 결정하는 레지스터이다.

-Port A 출력값 5V , 0V을 선택해서 데이터가 결정된다.

#예 > Port A 3번 과 6번으로 출력 했을때 코드값은 ,,,

 3번-0x08

 

 7

 6

 5

 4

 3

 2

 1

 0

 biy

 0x

 0

 0

 0

 0

 0

 0

 0

 0

 

3번

0

0

0

0

1

0

0

0

2진수

 

8

4

2

1

8

4

2

1

16진수

0

0

0

0

8

0

0

0

16진수

 6번 -0x40

 

 

 7

 6

 5

 4

 3

 2

 1

 0

 biy

 0x

 0

 0

 0

 0

 0

 0

 0

 0

 

 6번

 0

 1

 0

 0

 0

 0

 0

 0

2진수

 

 8

 4

 2

 1

 8

 4

 2

 1

16진수

 값

 0

 4

 0

 0

 0

 0

 0

 0

16진수

 

>LED 2EA 교차점멸 실험

 


 

>LED 2EA 교차점멸 실험 코딩!!

Port A 3번 0x08

Port A 6번 0x40

C, pasted 1 second ago:

#define DDRA (*((volatile unsigned char*)0x21))
#define PORTA (*((volatile unsigned char*)0x22))
#define PINA (*((volatile unsigned char*)0x20))
int main(void)
{
	volatile unsigned long uiCnt;
	DDRA=0xFF;//입출력으로 사용.방향을 결정한다
	
	
	
	while(1)//항상 사용
	{
		for(uiCnt=0; 100000>uiCnt;++uiCnt);
		PORTA=0x08;
		for(uiCnt=0; 100000>uiCnt;++uiCnt);
		PORTA=0x40;
	}
	return 0;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