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0321 박영주 업무일지[12번]
1.함수의 정의
밑의 소스에서 포인트는 실행하는 순서이다.
일단 Add(int num1 ,int num2)는 어제 배웠던 함수원형이 아닌 ; 없고 { } 가 생긴
함수의 정의를 뜻한다.이것을 컴파일러에게 Add함수가 있다고 인지해주기 위해서 main 함수
위에 표기한다. 그리고 main 함수먼저 실행한다. 밑에 보면18줄에서 iNum=Add(10,20);
위에 있는 Add함수를 호출한다는 뜻이다. 여기서 실행은 잠시 STOP!! 실행순서가 Add함수로 넘어간다.
위에 식에서 10과 20은 Add의 인자이므로 Add 함수의 Num1 Num2 에 대입되어 실행된다.
그럼 Add 함수에 return 반환값은 30 이 되고 , Add함수는 소멸된다.하지만 반환값은 30되어
Add(10,20) 은 30으로 변환되어 다시 멈췄었던 소스가 다시 시작된다.
결과적으로 iNum1 = 30 ; 이 되어 값은 30으로 나온다.
< 시작순서 >
main함수 ▶ iNum = Add(10,20) Add함수 호출! ▶ Add함수 실행 ▶ Add(10,20) 을 return 반환값으로 변형후 밑으로
실행
1-1 ) Add 함수 밑에 표기하기!!
2.문제풀이
※나머지는 연습문제에 있기때문에 패스!!
3.지역변수!!
지역변수란 ? 중괄호 내에 선언되는 변수는 모두 지역변수이다. 그리고 지역변수는 해당지역 즉 중괄호을 벗어
나면 자동으로 소멸된다.지역변수는 선언된 지역 내에서만 유효하기 때문에 선언된 지역이 다르면
이름이 같아도 문제가 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