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코스웨어/13년 스마트컨트롤러419 5/23일 수업 내용 정리 -서준영 논리회로 수업 MIPS(Million Instructions per second)란 무엇인가? :MIPS는 프로세서의 성능을 나타내는 단위로 초당 몇 백만개의 명령어를 처리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수치이다. 예를 들자면 50MIP는 초당 5천만개의 명령어를 처리할수 있다. 파이프라인이란 무엇인가? : 프로세서에서 찾을 수 있는 CPU 최적화 단계, 데이터 처리 과정이다. 가장 기본이 되는 3단계가 있고, 조금 더 세부적으로 나눈다면 5단계, 8단계, 13단계가 있다. 조금 더 빠른 처리속도를 내기 위해서는 변화를 주어야 한다. 그래서 ARM7은 3단계, ARM9은 5단계, ARM11은 8단계, CortexA8는 13단계까지 있다. 가장 기본이 되는 3단계 를 보자면. 1단계: Fetch : Fetch는 .. 2013. 5. 28. 2013_5_27일 정리입니다.-LCD 사용자정의 문자출력- LCD 사용자정의 문자출력 1. CG ram을 활용해 사용자 정의문자를 사용할것입니다.2. DD ram을 활용해서 화면 출력위치 설정합니다. 1. 배열을 활용하여 표현하고 싶은 폰트의 헥사값을 구하여 입력합니다. 2. cmd write를 이용하여 cg ram의 주소를 세팅하여줍니다.3. for문을 활용해서 cNt 변수를 반복 증감하게 합니다. 4. data write를 이용하여 폰트 배열을 출력시킵니다. 1. main에 CG함수를 호출합니다.ㅣ 2. cmd write로 dd ram의 주소를 세팅시킵니다.(커서를 윗칸으로 활성화)3. data write로 cg ram의 주소 0x00~0X07까지 폰트를 출력합니다. 완성 보고서 1.POWER POINTER 1.Ctrl+SIFT: 복사+수평으로 이동->선색,.. 2013. 5. 27. 5/22 수업내용 5/22 수업 지금까지 우리는 Datasheet 를 보며 레지스터의 주소를 정의 해왔다. 그러나 ATmel 에서는 각 장치의 콘트롤 레지스터 주소가 정의 되어 있는 헤더파일을 제공하고 있다. I/O 핀 별 쉬프트 연산까지 정의되어 있다. 처음부터 이 헤더파일에 정의되어 있는 것들을 이용했다면 좀 더 편했을 지도 모른다. 하지만 우리가 이런 헤더 파일을 만들 상황이 생길 수도 있기에 우리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으로 코딩을 해왔다. 그 연습이 끝나고 지금까지 우리가 정의 해온 것들을 ATmel 에서 제공하는 헤더파일에 정의된 내용으로 변경 해보자. 우리가 쓰는 ARM은 32bit 이므로 헤더 파일에는 각 콘트롤 레지스터의 주소로 시작하는 구조체를 int 형으로 선언하여 참조 연산자를 사용하여 좀 더 쉽게 각 .. 2013. 5. 24. 초음파센서 - 이수현 2013. 5. 24. 초음파센서_김창훈 2013. 5. 24. 초음파센서 - 이세웅 2013. 5. 24. 초음파센서 소스-변준식 2013. 5. 24. 초음파센서 소스 - 김경순 2013. 5. 24. 센서사용 팁 센서의 특성은 외부의 물리적변화를 받으면 저항이 변화하는 형태와 기전력을 일으키는 형태가 있다.같은 온도센서라도 저항이 변하는 센서와 기전력이 발생하는 센서가 있을 수 있으며,똑같이 빛을 감지하는 센서라도 저항이 변하는 CdS같은 형태일 수 도 있으며 포토트랜지스터와 같이 미세한 기전력이발생하는 형태도 있다.소리에 관련된 마이크는 기전력이 발생하는 형태이다.압력센서는 압전소자에 압력을 가하면 기전력이 발생한다.원리가 다르면 센서의 형태도 다를 수 있다. 여기서는 주위 환경변화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하는 센서에 대해 다루겠다. 학교에서 연결한 방식센서의 민감도는 내부풀업저항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가변저항을 장착한 방식 가변저항을 돌리면 센서의 민감도를 조절가능하다.단 가변저항을 돌리다가 회로가 단락(shor.. 2013. 5. 23. 이전 1 ··· 22 23 24 25 26 27 28 ··· 47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