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코스웨어/13년 스마트컨트롤러419 김성엽]Debug과정_정리 Debug 과정 알아보기 ▶디버깅이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중에 버그가 일어나는 부분을 쉽게 알아보기 위해서 IDE(통합개발환경) 내에 가지고 있는 기능이다. 디버깅중에는 흐름을 멈추고 순차적으로 한단계씩 볼수도있고, 변수값의 변화도 쉽게 확인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1. Debug > Windows > Breakpoints ( Ctrl + Alt + B or F9 ) ; 소스에 디버깅이 필요한 부분에 커서를 두고 Breakpoints 를 체크한다. 단축키를 이용하는 것이 편하다. ; 아래와 같이 빨간동그라미로 표시가 뜬다. (빨간동그라미 표시가 뜨는 부분을 클릭해도 가능) 2. 빨간동그라미가 생긴걸 확인하고 Debug > Start Debugging (F5) 를 통해서.. 2013. 3. 18. 한성원 비쥬얼스튜디오(정리) 1.새프로젝트실행2.c++에 win32에플리케이션실행3.네임설정 1.win32 next가기 2.빈프로젝트 설정3.만들기 1.소스파일 2.소스파일 생성3. c++ 설정4.네임.c 생성 1.스타트 디버깅: 디버깅을 이용한 컴파일2.브레이크포인트:F9, ctrl+alt+b(단축키) 브레이크 포인트설정시 그곳까지 컴파일3.step into:F11(단축키) 한줄씩검사~~~(주의점: printf 시 쓰지말것)~~4.step over:F10(단축키) 한단씩 검사 1.디버그후 값확인하기 2.브레이크 포인트에 맞춰서 오토 확인3. 값변경확인4.변수에 저장된 주소확인5.메모리에 설정된 주소 찾아 값찾기6.watch1: 수동으로 맞추서 확인 2013. 3. 18.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디버깅 -문예진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디버깅하기 1.디버깅을 하기 전에는 디버깅 하기 전의 부분에 가서 브레이크 포인트를 찍어 준다.(F9키 사용) 2.디버깅을 한다. (F5키 사용) 3. F11을 누르면서 체크 한다.메뉴창에 windows-memory-memory1 을 클릭하면 메모리에 어떤 값이 들어있는지 확인할 수 있고, ***메모리창에 $변수 이름을 넣으면 위치와 변수 값을 알 수 있다 4.빠져 나오려면 shift+ F5키를 눌러 빠져나온다.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build 메뉴----build-실행 파일을 짓는것.-build solution :전체 컴파일 (컴파일 하고 수정하고 다시 build solution을 실행하면 수정한 부분만 컴파일)- clean solution :컴파일 했던 obj,exe를 지우고 .. 2013. 3. 18. DEBUG 사용방법 2013. 3. 18. [조유진]VS2010 디버깅 디버그는 프로그램을 만들며 생기는 버그들을 고치기 위해 VS등의 IDE에 내장되어 있는 기능이다.프로그램 흐름을 직접 보며 멈출 수 있고, 특정 상황의 변수 값을 눈으로 볼 수 있어 버그 해결에 큰 도움이 된다. VS2010에서는 F5키 혹은 버튼을 클릭하여 디버깅 모드로 들어갈 수 있다. 브레이크 포인트(Break Point) : F9를 이용해 토글할 수 있으며, 디버깅 시 그 부분에서 멈춘다. 이후 다음 브레이크 포인트가 나올 때 까지 멈추지 않고 진행하거나(F5), 한 단계씩 지나가거나(F11) 블록단위로 지나가는 기능(F10)들을 잘 이용하여 디버깅한다. 아직 실행되진 않았으나 다음 번에 실행될 내용(화살표 윗부분은 실행완료) Autos 창에서 자동으로 변수들의 이름, 값, 타입을 잡아준다. 특정.. 2013. 3. 18. visual studio를 이용한 debug (임태형) Visual studio를 이용한 debug 방법 - Visual Studio에서 제공하는 Debug 기능을 사용하면 특정 변수의 값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 소스 코드를 작성한 후 솔루션을 빌드하고, 추적하고자 하는 위치를 마우스로 클릭해 Breakpoint(F9)를 걸어준다. -메뉴 Debug >> Start debugging(F5)을 눌러디버그 모드로 들어간다. - 노란색 화살표가 Breakpoint 지점에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Debug >> Step Into(F11)를 실행, 한 단계씩 코드를 진행한다. - 화면 아래쪽에 있는 디버그 창에 Breakpoint로 표시된 지점의 변수 값인 iCnt와 iSum 값이 어떻게 변하는지 나타난다. - Step Into(F.. 2013. 3. 18. 13년 스마트 컨트롤러 임기준 <디버그 사용방법> 1.디버그란 프로그램의 오류를 찾아 제거하는 일련의 과정 2.디버그 사용방법 1번 오류를 검색을 시작하고자 하는 라인에 커서를 둠2번 튤박스에 있는 디버그 클릭 3번 토글 브레이크 포인트를 클릭 또는 F9를 누름 (단축키를 이용하면 2번 작업을 생략 해도 된다) 4번 스타트 디버그 클릭 또는 F5 누름 ==>Dos창이 함께 생성됨 5번 디버깅을 실행하는 화면에 노란화살표 생성 (※ 실행 코드에 브레이크포인트를 걸면 노란 화살표가 바로 나오지만 main함수에 걸면 바로 밑 실행코드에 걸림) 6번 Step Into를 클릭하거나 F11를 눌러서 실행코드를 한줄씩 실행노란색 화살표는 실행직전인 코드 라인에 위치한다.7번 F11를 통해 한줄씩 실행하면서 아래에 있는 Autos의 변수값을 확인한다8번 Step Ov.. 2013. 3. 18. 비주얼스튜디오_디버그_손초롱 1. 디버깅할 시작 위치에 BreakPoint를 지정 (F9)2. 디버깅 시작 (F5)3. 한행씩 실행 (F11)4. 실행한 행 까지의 메모리에 저장된 변수값을 확인 할 수 있다.2. 디버깅 종료 (SHIFT + F5) * printf() 함수는 어셈블리어로 표시되기 때문에 Step Over를 이용하여 단계 진행(F10) -사진의 글씨가 안보일 시 클릭하여 원본확인 2013. 3. 18. Visual Studio 디버깅 사용방법. (김경순) 디버깅 이란: 프로그램이나 하드웨어 장치에서 잘못된 부분, 즉 버그를 찾아서 수정하거나 에러를 피해 나가는 처리 과정. Visual Studio 에서의 디버깅 사용 방법 Step1)디버깅을 시작하고자 하는 위치를 정한후 창에서 Debug 탭 → Toggle Breakpoint 클릭 혹은 단축키 F9키를 누른다. Step2) Debug 탭 → Start Debugging 클릭 혹은 단축키 F5키를 눌러 디버깅을 시작한다.Step2를 수행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출력된다. 실행예정이고 현재 위에것이 실행중이다는 것을 보여준다Autos : 자동으로 현재 진행되고 있는 사항을 보여준다 Watch : 사용자 값을 입력하여 수동으로 확인할수 있다. Step3) F11키를 눌러 디버깅을 진행한다. 사항에 따라 F10.. 2013. 3. 18. 이전 1 ··· 35 36 37 38 39 40 41 ··· 47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