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보드의 구성
전하 출적 -> 전하 축적
2. 데이터시트 보는 법!
2-1. 좌표보기 (시트 가장자리) : 세로 ABCD .. / 가로 1234 ... (ex sensor test 도면 A1번 )
2-2. 도면정보 ( 우측 하단 ) 도면 제목, 번호 , 수정횟수등이 기록되어 있다. (가끔 자신의 것과 갱신 횟수다 다를때도 있음.)
3. 스위치 도면.
3-1. 도면의 번호와 보드의 도면번호를 잘~ 맞춰 보다 (j 16 오른쪽 하단 핀 집단)
3-2. 5v 의 전하가 병렬저항 (R31)로 흘러 들어가서 아래로 흘러가면 하단의 분홍색 점이 있는 부분에서 교차한다
(분홍색 점이 없는 부분은 그냥 엇갈린 곳)
3-3. 그리고 스위치의 on off 상태에 따라 전하의 위치가 달라진다. (풀업 저항*)
칩에 입력을 5V 또는 0V를 가한다. 하지만 입력을 가하지 않는 경우는 칩 자체에서는 5V를 입력하였는지 1V를 입력하였는지 모른다. 이런 문제에 의하여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런 상태를 플로팅되었다라고 한다. 플로팅 상태는 잡음에 매우 취약해지므로 시스템이 불안정해진다. 이를 해결 하기 위해서 풀업 / 풀다운 저항을 사용하게 된다.
2. 풀업 저항 (Pullup resistor)
풀업 저항을 사용한다면 스위치가 열려 있을 때 칩에는 항상 5V의 전압이 가해진다. 따라서 회로에 입력을 몰라도 항상 5V의 전압을가진 상태가 된다. 스위치를 닫는다면 그라운드 쪽으로 전류가 흐르게 되며 회로의 전압은 0V가 되며, 1을 입력한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핀을 높은 저항에 매달아 둔다는 뜻에서 '풀 업 저항'이라 한다.
3. 풀다운 저항 (Pulldown resistor)
회로는 5V의 전압을 받으면 1로 인식하고, 0V의 전압을 받으면 0으로 인식한다. 스위치가 열려있는 상태에서 그라운드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류가 항상 그라운드로 흐르게 되어 0V가 된다. 스위치를 닫게되면 소량의 전류가 저항을 통해 그라운드로 흘러 나가지만 많은 양의 전류가 회로(핀)로 흘러 5V가 된다. 따라서 1이 입력된 것으로 인식한다. 항상 그라운드에 묶어둔다는 의미에서 '풀 다운 저항' 이라 한다.
자료출처 : http://air802.tistory.com/2
4. 세븐세그먼트 도면 보기
4-1.CD4511이 세그먼트 칩의 이름이다. ( 도면 pdf중 CD4511 이 세그먼트의 도면 )
4-2. LATCH* 부분은 GND 로 연결 되는데 이건, 이 보드에선 LATCH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4-3-1. 세븐세그먼트는 이전과 다르게 4개의 핀만으로 진리표를 이용해서 숫자를 표현한다. 이때, VCC는 1 GND는 0이고
이걸 2진수로 만들어 그 수의 합을 세븐세그먼트로 출력한다. (ex : 0 0 0 1 =>1 )
4개의 핀을 사용할 때 9 이상의 수는 표기 되지 않고 출력이 꺼진다. 그리고 오른쪽 하단 . 는 점등하지 않는다.
4-3-2. 4PIN (칩 이용) VS 8PIN (코딩 이용)
우리가 8개의 핀에 대하여 각각 코딩으로 제어하던 것을 칩이 대신해줘 핀 4개만 제어하면 된다.
4pin 전용 : 다른 기능을 사용 할 수 없다. 한가지 업무만 전담하므로 빠르기는 더 빠르다.
8inn 범용 : 코딩으로 다른 기능과 함께 활용 할 수 있다.
latch
시간적으로 변화하는 레지스터 및 카운터, 데이터 신호 버스상의 디지털 정보를 원하는 시각에 판독하여 등록하는 동작 또는 그 회로. 보통 D 플립플롭으로 구성된 레지스터로, 입력 정보는 클록 펄스의 상승 시각에서 표본화되어 입력되고, 다음 클록 펄스까지 그 이후의 입력에 관계없이 출력이 보존된다. 계전기 회로에서는 수동 또는 전자적 조작으로 리셋되지 않는 한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동작 또는 그 계전기를 말한다
소스는 다른분들이 정리해 주셨으므로.. :-)
'코스웨어 > 14년 스마트컨트롤러' 카테고리의 다른 글
TWI.c/TWI.h (0) | 2014.06.10 |
---|---|
20140609 출석번호 1번 고윤석 (12) | 2014.06.09 |
2014년 6월 5일 업무일지 허수웅 [출석번호 22번] (14) | 2014.06.07 |
2014.06.03 업무일지 출석번호 21 이재우 (12) | 2014.06.03 |
추가보드 스위치 (0) | 2014.06.02 |
PCINT 9~13번을 이용한 7Segment 카운터 (0) | 2014.06.02 |
2014.05.30 업무보고 오영주 (출석번호 18번) (13) | 2014.05.30 |
2014.05.29 교육보고 - 17번 오두환 (13) | 2014.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