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코스웨어/14년 스마트컨트롤러

출석번호13번[서상우]_수업보고서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14. 8. 22.
728x90
반응형

어셈블리 프로젝트

(첨부파일)

main.exe

t1.exe

t2.exe

t3.exe

t1.c

t2.c

t3.c

(t1.exe)

코드,데이터 영역의 값 및 각종 레지스터 값 출력


전역변수 flstz[]sum
지역변수 i

t1.exe 의 데이터를 가져옴


[데이터영역] 전역변수 flstz[] sum의 초기화 값 확인


t1.exe 실행


[데이터영역]

flstz[]의 값이aaaaaaaaaaaaaaaa로 바뀐것 을 확인

sum의 값이 12345678(리틀 엔디언)로 바뀐것 을 확인 


[스텍영역]

지역변수 i의 값이 10(십진법 16)으로 저장된 것을 확인



(t3.exe)

지역변수 총 4개 sfrom, tos

함수의 인자 2개 from, to


[실행후 스텍영역]

오른쪽 부터 인자인 to=0A(10), from=0B(11), R.A(리턴 어드레스)=0X0043007D

   ,old ebp=0X0044003C



open

read lseec: section.code

read :section.code 복사



현재 구현 상황

[소스]

main.c


(main)

-동적할당 (128kb)

-load함수호출


(load함수)

-파일오픈 

-동적할당공간에 파일 정보 저장 

-포인터 생성

IMAGE_DOS_HEADER

IMAGE_NT_HEADERS

IMAGE_FILE_HEADER

IMAGE_OPTIONAL_HEADER32


(STST,LDST 통합)

stst.asm

어셈블리 프로젝트 시작!! 드디어 올것이 왔다!! 열심히 ㄱㄱ




728x90